– 주력 제품 SEEU ON의 핵심 기술 ‘생체정보 템플릿을 이용한 좌석 이탈 관리 방법 및 장치’ 특허
– 국내 대기업의 美 현지 계열사 및 그 협력사 대상 영업 강화…글로벌 시장 점진적 확대 추진
– 美 특허 통해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 입증…국내 금융 및 방산 부문 보안 시장 공략에도 집중
비전 AI 전문 기업 시선AI(340810)가 추진 중인 미국 시장 진출 및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에 청신호가 켜졌다.
시선AI는 자사의 주력 제품인 AI 기반 지속인증형 화면정보 보호 솔루션 ‘SEEU ON(씨유온)’의 핵심 기반 기술 ‘생체정보 템플릿을 이용한 좌석 이탈 관리 방법 및 장치(Seat Departur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Template)’에 대해 미국 특허 등록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앞서 회사는 PCT(특허협력조약) 제도를 통해 국제특허를 출원해 150여 체약국에 대한 출원일 우선권을 확보하고, 미국특허청(USPTO)에 미국 국내단계 진입 신청서를 제출했다. 시선AI는 USPTO로부터 모든 심사 과정이 완료돼 특허 등록 허가를 획득했음을 통지하는 특허 등록결정서를 수신했으며, 최근 이에 대한 등록료를 납부함에 따라 곧 최종 특허 등록 절차가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번 특허 기술은 ‘생체정보 기반 좌석 이탈 감지 및 인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원격 근무, 화상 회의, 온라인 시험 등에서 사용자가 실제 자리에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시선AI는 이 기술에 대해 2023년 국내 특허를 획득했다.
핵심 구성 요소는 ▲사용자의 좌석에 설치돼 생체정보(얼굴)를 지속 수집하는 ‘로컬 장치’ ▲전송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등록된 템플릿(생체 데이터)과 비교∙검증하는 ‘인증 서버’ ▲인증된 사용자의 이석(자리비움)이나 타인의 접근 등을 실시간 감지하는 ‘무자각 지속인증 기능’ 등이다. 이를 통해 PC 화면을 통한 정보 유출 등 보안 위협을 차단한다.
시선AI는 이번 미국 특허 등록으로 해당 기술에 대한 독점적 우선권을 갖고 SEEU ON을 통한 현지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는 전략이다. 회사는 우선 국내 대기업의 미국 현지 계열사 및 그 협력사를 대상으로 영업을 확대하면서 판로를 개척하고 점진적으로 현지 사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며, 나아가 미국 외 글로벌 시장 확대에도 나선다는 복안이다.
시선AI의 SEEU ON은 크게 산업기술보호 시장과 내부자 정보 위협 방지 시장을 겨냥한다. 시장조사 기관 Precedence Research에 따르면, 미국의 산업기술보호 시장은 2024년 67.2억 달러(약 9.5조원)에서 연평균 성장률(CAGR) 18.48%를 기록해 2034년 366.2억 달러(51.9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또 다른 기관 Grand View Research는 미국 내부자 정보 위협 방지 시장 규모가 2023년 9.5억 달러(1.3조원)에서 연평균 성장률 14.5%를 기록해 2030년 24.6억 달러(3.5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시선AI는 SEEU ON의 국내 시장 확대에도 매진하고 있다. 최근 공공, 민간 등 여러 분야에서 정보 유출 사고가 반복되며 정보 보안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시장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특히 강력한 보안이 요구되는 금융권 및 방위산업군을 대상으로 영업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핵심 기술에 대한 미국 특허로 글로벌 수준의 공신력 있는 기술적 근거를 갖춤에 따라 SEEU ON의 기술력과 기능적 우수성에 대한 설득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회사는 기대하고 있다.
SEEU ON은 14개 AI 기능을 사용해 모니터 화면을 통한 정보 유출을 차단하는 보안 솔루션으로, ▲스마트폰, 디지털카메라 등 총 6개 유형의 카메라를 이용해 모니터를 촬영하는 행위 ▲인증된 사용자의 이석 상황 ▲타인 동석 상황 ▲웹캠 가림 행위 ▲듀얼 모니터 등 추가 장치 연결 상황 등을 탐지해 정보 유출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지난 4월과 5월 각각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로부터 GS인증 1등급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클라우드보안인증(CSAP) SaaS 표준 등급을 획득했다.